의회는 특정 종교를 국교로 정하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방해하거나, 언론의 자유를 막거나, 출판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권리, 그리고 정부에 탄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만들 수 없다.
이 헌법 조항은 미국에서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교를 정하는 것을 법으로 금하고, 종교의 자유를 헌법으로 보장하는 이 내용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정치와 종교가 완전히 분리되었습니다.
이렇듯 미국 수정 헌법의 첫 조항은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신앙을 자유롭게 따를 수 있도록 보장해 주었고, 따라서 미국 전역으로 복음이 퍼져 나가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2) 계몽주의 사상
17세기 초 독일, 프랑스, 영국에서 계몽주의가 일어났습니다. 계몽주의는 과학과 지식의 발전으로부터 시작되어 사회적 변화로 이어져 나갔습니다. 사람들은 계몽주의로 인해 합리적 사고에 집중하게 되었고,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의 발견과 같은 많은 획기적인 과학적 업적들이 이 시대에 나타났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이전의 사상과 관습에서 벗어나고자 했습니다. 하나님이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전통적인 세계관에도 의문을 제기하면서 하나님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상들이 생겨났습니다. 또 개인의 자유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러한 사상은 미국의 헌법 제정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토마스 제퍼슨과 같은 사람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3) 무신론적 세계관의 등장
19세기를 살았던 카를 마르크스(1818~1883)와 찰스 다윈(1809~1882)은 정치와 과학계에서 무신론을 지지하는 영향력 있는 사상과 이론들을 만들어 낸 사람들입니다.
독일인 카를 마르크스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함께 <공산당 선언>을 집필했습니다. 그는 계층이 없고, 대중이 모든 자본과 정치적 힘을 공동으로 소유하는 사회를 바랐습니다. 또 종교는 가난한 이들을 더 착취하기 위해 사후 세계를 약속함으로써 위안을 삼도록 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종교를 ‘평민들에게 주는 아편’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는 종교적인 믿음이 단지 사람들을 통제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산주의 사회는 무신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이상이었던 계층이 없는 사회는 그의 처음 생각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훗날 대부분의 공산주의 국가는 독재 정권으로 바뀌었습니다.
영국의 찰스 다윈은 생물들이 변화된 환경에 따라 적응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 개념을 발전시켜 한
정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전체기사와 사진(동영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