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2023.05> 교회사 Ⅵ - 미국의 복음 부흥과 현대 교회사

교회사 Ⅵ
미국의 복음 부흥과 
현대 교회사
  
 
미국 독립의 역사와 시대적 배경
1) 미국의 독립 선언 
17세기에 영국은 본토를 넘어 전 세계 각 곳에 식민지를 건설하는 세계에서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지구상 모든 대륙에 정착하기 시작한 영국인들로 인해 기독교 신앙도 전 세계로 퍼져 나갔습니다. 그리고 이때 많은 청교도인들이 미국 대륙으로 건너갔습니다.
청교도 운동은 16세기 후반에 칼뱅의 영향을 받아 스코틀랜드와 영국의 성공회 내부에서 시작된 종교 개혁 운동입니다. 청교도 혁명이라고도 하는 영국 내전 때부터 올리버 크롬웰 시대까지의 짧은 기간에는 청교도인들이 영국 기독교인들의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청교도와 성공회 사이에는 오랜 기간 큰 갈등이 있었고, 17세기 초에 들어 극심한 핍박을 받게 되자 많은 청교도인들이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미국 대륙으로 이주했습니다.
1620년에 청교도인들이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처음 미 대륙으로 건너간 이후 미 대륙에는 13개 주의 영국 식민지가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세금 징수 문제로 인한 갈등을 발단으로 혁명이 일어났고, 결국 식민지들은 영국 본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미국 독립 혁명’이라고 부릅니다.
이 즈음에 있었던 가장 유명한 사건으로 1773년에 일어난 ‘보스턴 차 사건’이 있습니다. 이때 식민지 정착민들은 영국에서 오는 물품에 대한 세금을 내야 했는데, 이러한 법안은 식민지 정착민의 자치권을 침해하는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영국 의회에는 미국 식민지 정착민을 대표하는 의원이 없었기에 누구도 이 정책에 대해 발언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 세법에 반발한 보스턴 시민들은 정박 중인 배 3척에 실려 있던 3백 상자가 넘는 홍차를 바다에 던져 버렸습니다.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운동은 결국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져 1775년부터 1783년까지 8년간 전쟁이 계속되었습니다.
1776년 7월 4일에는 미국 식민지가 영국 본국으로부터 독립한다는 것을 공표했고, 1783년에 미국 독립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습니다. 1787년에는 미국의 첫 번째 헌법이 제정되었으며, 1791년에는 ‘권리 장전’이라고 불리는 10개의 수정 조항이 추가되었습니다. 이 조항에는 미국 시민이 갖는 가장 중요한 권리들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중 첫 번째 조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회는 특정 종교를 국교로 정하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방해하거나, 언론의 자유를 막거나, 출판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권리, 그리고 정부에 탄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만들 수 없다.
이 헌법 조항은 미국에서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교를 정하는 것을 법으로 금하고, 종교의 자유를 헌법으로 보장하는 이 내용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정치와 종교가 완전히 분리되었습니다. 
이렇듯 미국 수정 헌법의 첫 조항은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신앙을 자유롭게 따를 수 있도록 보장해 주었고, 따라서 미국 전역으로 복음이 퍼져 나가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2) 계몽주의 사상
17세기 초 독일, 프랑스, 영국에서 계몽주의가 일어났습니다. 계몽주의는 과학과 지식의 발전으로부터 시작되어 사회적 변화로 이어져 나갔습니다. 사람들은 계몽주의로 인해 합리적 사고에 집중하게 되었고,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의 발견과 같은 많은 획기적인 과학적 업적들이 이 시대에 나타났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이전의 사상과 관습에서 벗어나고자 했습니다. 하나님이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전통적인 세계관에도 의문을 제기하면서 하나님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상들이 생겨났습니다. 또 개인의 자유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러한 사상은 미국의 헌법 제정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토마스 제퍼슨과 같은 사람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3) 무신론적 세계관의 등장
19세기를 살았던 카를 마르크스(1818~1883)와 찰스 다윈(1809~1882)은 정치와 과학계에서 무신론을 지지하는 영향력 있는 사상과 이론들을 만들어 낸 사람들입니다.
독일인 카를 마르크스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함께 <공산당 선언>을 집필했습니다. 그는 계층이 없고, 대중이 모든 자본과 정치적 힘을 공동으로 소유하는 사회를 바랐습니다. 또 종교는 가난한 이들을 더 착취하기 위해 사후 세계를 약속함으로써 위안을 삼도록 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종교를 ‘평민들에게 주는 아편’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는 종교적인 믿음이 단지 사람들을 통제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산주의 사회는 무신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이상이었던 계층이 없는 사회는 그의 처음 생각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훗날 대부분의 공산주의 국가는 독재 정권으로 바뀌었습니다.
영국의 찰스 다윈은 생물들이 변화된 환경에 따라 적응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 개념을 발전시켜 한
정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전체기사와 사진(동영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