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에 유대인의 명절이 있어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올라가시니라 예루살렘에 있는 양문 곁에 히브리 말로 베데스다라 하는 못이 있는데 거기 행각 다섯이 있고 그 안에 많은 병자, 소경, 절뚝발이, 혈기 마른 자들이 누워 (물의 동함을 기다리니 이는 천사가 가끔 못에 내려와 물을 동하게 하는데 동한 후에 먼저 들어가는 자는 어떤 병에 걸렸든지 낫게 됨이러라) 거기 삼십팔 년 된 병자가 있더라 예수께서 그 누운 것을 보시고 병이 벌써 오랜 줄 아시고 이르시되 네가 낫고자 하느냐 병자가 대답하되 주여 물이 동할 때에 나를 못에 넣어 줄 사람이 없어 내가 가는 동안에 다른 사람이 먼저 내려가나이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일어나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 하시니 그 사람이 곧 나아서 자리를 들고 걸어가니라 이 날은 안식일이니 유대인들이 병 나은 사람에게 이르되 안식일인데 네가 자리를 들고 가는 것이 옳지 아니하니라 대답하되 나를 낫게 한 그가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 하더라 한대 저희가 묻되 너더러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 한 사람이 누구냐 하되 고침을 받은 사람이 그가 누구신지 알지 못하니 이는 거기 사람이 많으므로 예수께서 이미 피하셨음이라 그 후에 예수께서 성전에서 그 사람을 만나 이르시되 보라 네가 나았으니 더 심한 것이 생기지 않게 다시는 죄를 범치 말라 하시니 그 사람이 유대인들에게 가서 자기를 고친 이는 예수라 하니라 그러므로 안식일에 이러한 일을 행하신다 하여 유대인들이 예수를 핍박하게 된지라 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 하시매 유대인들이 이를 인하여 더욱 예수를 죽이고자 하니 이는 안식일만 범할 뿐 아니라 하나님을 자기의 친아버지라 하여 자기를 하나님과 동등으로 삼으심이러라 (요한복음 5:1-18)
삼십팔 년 된 병자
이 내용은 38년 동안 누워 지낸 병자에게 일어난 일에 대한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신지 모르지만 저는 이 사람에게 퍽 동정이 가는 한편,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38년! 그만큼 오랫동안 누워 있으라고 하면 누워 있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저는 이 병자가 어떤 사람일까를 여러 모로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다. 세상에는 어떤 어려움이 닥치기 전에 미리 자살해 버리는 사람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은 병이 들어 38년 동안을 견뎠으니, 오로지 살고자 하는 의욕만 가지고 38년을 버텨 온 것인지, 낫고자 하는 집착이 강했던 것인지, 아니면 생각이 깊은 사람이어서 무언가 기다렸던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또 한 가지 생각해 볼 것은 예수께서 이 38년 된 병자의 형편을 잘 아시면서 “네가 나았으니 더 심한 것이 생기지 않게 다시는 죄를 범치 말라” 고 말씀하신 점입니다. 이 사람이 좀 따지는 사람이라면 예수께 분명히 말했을 것입니다. “저는 38년 동안 누워만 있어서 죄를 범하러 걸어다닐 수 없었습니다.”
38년 동안 옆에 있는 베데스다 못에도 들어가지 못했던 이 병자에게 죄를 범치 말라고 하신 예수님의 그 말씀은 어떻게 보면 잘못 판단하신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게 합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보면 예수님은 그 사람의 행동을 보신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마음속까지 살피고 하신 말씀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누운 사람이 죄를 지으면 얼마나 짓겠습니까?
14절을 봅시다.
그 후에 예수께서 성전에서 그 사람을 만나 이르시되 보라 네가 나았으니 더 심한 것이 생기지 않게 다시는 죄를 범치 말라 하시니
몸이 성한 사람 같으면 사지가 멀쩡해서 활동할 수 있으니까 이런 저런 죄를 많이 지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병자는 38년 동안 누워만 있었습니다. 이런 사람에게 “다시는 죄를 범치 말라”고 하셨다면, 이것은 밖으로 나타나는 행동이 아니라 분명히 마음, 생각의 움직임을 말씀하시고 계시지 않느냐, 그렇게 생각해야 될 것 같습니다.
38년간이라면 안식일이 몇 차례나 지나갔을까요? 굉장히 많은 안식일이 지나갔을 것입니다. 이 병자에게 있어 안식일은 저 아래에 있는 연못에 들어가야겠다는 생각도 할 필요가 없는 날이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절대로 안식일을 범하면 안 되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일하면 죽습니다. “안식일에 일하는 자를 반드시 죽일지니라” (출 31:15) 는 율법에 따라 처단됩니다. 십계명 중에는 네번째 계명에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라’는 아주 철통 같은 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필이면 안식일에 예수께서 베데스다 못에 오셔서 38년간 안식일을 가장 잘 지킨 이 사람에게 안식일을 범하게 하셨습니다. 예수께서는 안식일에 그에게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고 명하시고 이 병자를 낫게 하신 것입니다. 왜 하필 예수님은 안식일에 이런 일을 하셨을까요?
유대인이라면 누구나 안식일에는 1킬로미터 이상 걷지 못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안식일에 갈 수 있는 거리가 정해져 있었던 것입니다. 또 안식일에 자리를 들고 걸어도 안 되고 나뭇단을 져도 큰일 납니다. 그만큼 유대인들에게는 안식일이 중요한 날이었습니다.
이 38년 된 병자는 안식일에 자기 몸도 못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아예 누워 있었습니다. 적어도 38년 동안은 유대인들 중에 안식일을 제일 잘 지킨 사람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예 누워 있었으니 말입니다. 그런 사람에게 예수께서 갑자기 오셔서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고 했으니 안식일을 범하도록 만들어 버린 것이 아닙니까? 완전히 유대의 전통을 깨버린 것이었습니다.
물론 침상을 들고 걸어간 이 사람은 예수께서 그렇게 하라고 해서 한 것이기 때문에 책임은 덜하겠지만, 여하튼 안식일을 범한 것은 사실입니다.
베데스다라 하는 못
그 후에 유대인의 명절이 있어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올라가시니라 (요한복음 5:1)
유대인의 명절은 우리나라의 추석이나 설, 기독교인들이 지키는 크리스마스나 부활절 같은 명절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큰 명절입니다. 엄숙하고 거룩하게 꼭 지켜야 되는 대단한 절기입니다. 전 세계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이 조국의 예루살렘에까지 찾아와서 예배를 드리는 명절이었습니다.
예루살렘에 있는 양문 곁에 히브리 말로 베데스다라 하는 못이 있는데 거기 행각 다섯이 있고 (요한복음 5:2)
예루살렘에 양들이 출입하는 양문이 있었습니다. 그 문 근처에 양을 사고파는 시장이 있었던가 봅니다. 양문은 바로 해마다 많은 양들이 그 문을 출입하여 성전에서 희생되어 죽어가던 ‘희생의 문’이었습니다. 제물로 드려질 양들이 드나들던 자리라는 말입니다. 그 양문 곁에 히브리말로 ‘베데스다’라고 하는 못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베데스다라는 이 이름은 ‘은혜의 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 못이 또 하필 양문 곁에 있었다니, 그 장소가 참 좋았던 것 같습니다.
거기에 행각 다섯이 있었습니다. 행각이라면 대강 어떻게 표현하면 될까요? 근세에 와서 예루살렘 땅 밑에 있는 그 장소를 발굴해서, 근처의 다섯 행각이 있던 자리까지 다 찾아놓은 사진을 본 적이 있습니다. 옛날 우리나라 대궐집 같은 데 보면 주랑(柱廊)이 있었습니다. 지붕 아래 큰 기둥들이 있는데 벽은 없습니다. 그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그런 행각 다섯 개가 죽 있고 거기에 많은 병자들이 누워 있었습니다. 이 다섯이라는 숫자도 성경에 나오는 다른 숫자들처럼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책에서 읽은 적이 있습니다. 다섯이란 숫자는 어떤 은혜를 표시할 때 쓰인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 안에 많은 병자, 소경, 절뚝발이, 혈기 마른 자들이 누워 (물의 동함을 기다리니 이는 천사가 가끔 못에 내려와 물을 동하게 하는데 동한 후에 먼저 들어가는 자는 어떤 병에 걸렸든지 낫게 됨이러라) (요한복음 5:3-4)
그 행각 안에 많은 병자, 소경, 절뚝발이, 혈기 마른 자들이 누워 못의 물이 움직이기를 기다렸습니다. 간혹 한 번씩 못의 물이 끓었던가 봅니다. 보통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화산에 가까운 곳에서 물이 가만히 있다가 팍 솟아나는 장면을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식으로 물이 동했을 것입니다.
이는 천사가 가끔 못에 내려와 물을 동하게 하는데 동한 후에 먼저 들어가는 자는 어떤 병에 걸렸든지 낫게 됨이러라
천사가 와서 물이 움직이게 한다는 것입니다. 요즘 세상에 그런 곳이 있다면 어떨까요? 먼저 들어간 사람이 낫는다는데 사람이 얼마나 모여들겠습니까? 그런 상황에서 이 물이 동하는 연못을 한번 상상해 봅시다. 성경에도 여러 종류의 환자들이 보이지만, 요즘 같으면 교통사고가 난 사람까지 다 합세할 테니 얼마나 수가 많겠습니까?
네가 낫고자 하느냐
그런데 그런 와중에 이 38년 된 병자가 움직이려고 하면 벌써 다른 사람이 먼저 뛰어 들어가 버린다는 것입니다. 이 병자의 심정이 어땠을까요? ‘누구든지 먼저 뛰어들면 낫는데 왜 나만 못 들어가느냐, 아픈 것도 원통한데 그것마저 못하다니....’ 라며 신세타령도 꽤나 했을 것 같습니다.
우리 한번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못 가에서 기다리기는 했지만 자기 차례는 돌아오지 않는 것입니다. 이 못에는 누가 먼저 들어가고 그 다음에는 누가 들어간다는 식으로, 순서대로 들어간 것이 아닙니다. 이 병자보다 한 달 늦게 온 사람이 먼저 들어갔을 수도 있고, 금방 앉자마자 물이 우르르 동하니까 번쩍 뛰어 들어간 사람도 있었을 테고, 또 이 병자 옆에서 ‘이번에는 형님이 먼저 들어가시지요.’ 하던 사람이 먼저 들어갔을 수도 있습니다. 이 병자가 이런 상황을 오랫동안 겪었다면 아예 포기하고도 남을 것입니다.
또 병이 38년 정도 되었다면 이 사람의 얼굴 모습은 어떠했을까요? 몸도 찌그러졌겠지만 얼굴도 많이 일그러졌을 것 같습니다. 사람이 서서 활동하고 있는 상태라면 볼은 조금 처져도 본래의 얼굴 모습이 유지되지만, 누워만 있으면 얼굴이 뒤로만 당겨지기 때문에 원래의 얼굴 모습과 완전히 달라집니다. 주변 사람들의 앉아 있을 때의 얼굴 모습과 누워 있을 때의 얼굴 모습을 살펴보시면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사람은 정말 인생으로서는 더 이상 비참할 수 없을 정도로 비참한 사람이었습니다. 이런 사람이 어떻게 하다 예수님의 눈에 발견되었는지 모르지만 예수께서는 이 사람을 당장 낫게 해주셨습니다. 그 정도의 능력을 가지신 분 같으면 옆에 있는 사람들도 다 낫게 해주실 수 있었을 텐데, 요한복음 5장에서는 이 한 사람의 이야기만 설명되고 있습니다. 38년 된 병자 한 사람만 나았습니다.
거기 삼십팔 년 된 병자가 있더라 예수께서 그 누운 것을 보시고 병이 벌써 오랜 줄 아시고 이르
로그인하시면 전체기사와 사진(동영상)을 볼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