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옥 | 의학박사
기독교복음침례회의 한 의학박사가 형제교회에서 어느 군인의 전도를 통해 구원받은 이야기. 구원파에만 구원이 있다고 주장한다고 비판하는 정동섭 씨의 말대로라면 하나님께서 초대교회 이후 구원파가 시작될 때까지 잠들어 계셨다는 말인가? 기독교 역사 속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구원받아 왔는가? 아래의 간증은 정동섭 씨의 비판이 얼마나 가당찮고 모순된 것인가를 설명하는 좋은 예이다.
허전한 마음에 교회를 기웃거리다
내 고향은 영산포다. 내 증조할아버지는 한약방을 운영하면서 돈을 많이 버셨는데, 할아버지가 가업을 이어받지 못하면서 재산이 많이 줄었다. 그나마 있던 재산도 아버지 대에 와서 아버지의 사업 자금으로 다 들어갔고, 가세는 기울어서 내가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쯤에는 광주에 조그만 방 한 칸 얻을 정도의 돈만 남게 되었다. 게다가 집 매매 문제로 소송이 붙었는데, 재판에서 지는 바람에 가뜩이나 없는 살림에 급기야는 딱지까지 붙게 되었다.
내 성격이 낙천적이기는 했지만, 이런 일은 감수성이 예민한 중학생이 견디어 내기에는 어려운 일이었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와 울고 있었는데 큰누나가 이런 말을 했다.
“재옥아, 너는 공부를 해라. 공부를 하는 것이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우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
그때부터 나는 친구들과 놀다가도 다른 아이들과 내가 다르다는 생각을 문득문득 하게 되었다. 동네 친구들이 놀자고 부르면 내가 없다고 말하도록 가족들에게 부탁하게 되었다. 성적은 계속 올랐고, 첫 시험 때 반에서 14등을 기록했던 성적은 그 후 계속 일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중학교 3학년이 되었다. 시골에서 한 친구가 광주로 유학을 와서 자취를 하고 있었다. 그 친구와 굉장히 친해져서 서로 간을 빼어주듯 가까운 사이가 되었다. 시간만 나면 그 집에 가서 같이 먹고 자며 지냈다. 그러면서도 그 친구가 우리 집에 오는 것을 나는 불편해 하고 있었다. 어려운 형편을 보이기 싫은 탓이었다. 그래서 주로 부모님이 계시지 않은 그 친구의 자취방에서 함께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그 친구와 친해지면 친해질수록 마음 한 구석이 허전해졌다. 공부를 잘한다고 해결되는 것도 아니었다. 그 허전함은 말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정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전체기사와 사진(동영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