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Ⅱ- 진단 검사의 종류와 특징 바이러스의 생활 주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검사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이러스의 생활 주기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코로나바이러스를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동그란 바이러스 안쪽에 바이러스 유전 물질이 있고, 바이러스 바깥에는 돌기 형태의 ‘스파이크(Spike) 단백질’이 달려 있다. 이 스파이크 단백질은 우리 몸의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투하도록 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우리 몸의 ‘앤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라는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는데, ACE2는 심장 기능과 체내 수분, 혈압 조절에 작용하는 효소로 심장과 폐, 콩팥, 위장 점막에 많이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주로 구강, 눈, 코 등의 점막을 통해 감염이 시작되는 이유다.코로나바이러스의 3D 모델 몸속에 침투한 바이러스는 증식하기 위해 유전 물질을 만들어 내어 자신을 복제한다. 자동차 공장에서 부품을 조립해 자동차를 완성하는 것과 같이 증식하는 데 필요한 모든 단백질, 유전자 물질을 조립하여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 내는
정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전체기사와 사진(동영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
 |